본문 바로가기
CS/Network

OSI 7 Layer - Physical Layer

by 도쿠니 2022. 5. 28.

1. 물리계층이란?

  •  OSI 7계층 모델 상에서 최하위 계층
  • 통신기기와 전송매체 사이의 물리적 인터페이스를 정의하고 비트 전송을 위한 기계적, 전기적, 수단을 제공하는 계층
  • 데이터를 전기신호로 변환하여 송수신
    • 컴퓨터는 전기의 흐름(1)과 전기 흐름X(0) 두 가지의 신호로만 데이터를 저장하는 이진수체계를 사용한다
    • 물리 계층에서는 이렇게 이진수로 저장되어있는 데이터(비트 스트림) 전기신호로 표현하거나 전기신호를 비트스트림으로 변경하여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.

 

2. 물리계층 장비

  • 통신 케이블
    • TP + 커넥터(RJ-45)
    • 동축 케이블, 광케이블 등
  • 리피터(중계기)
    •  신호의 세기를 증폭하여 좀 더 먼거리까지 통신이 가능하게 한다.
  • 허브
    • 전기신호를 증폭하여 포트에 연결된 PC들끼리 통신이 가능하게 한다

 

3. 단위

  • Bit : 회선 속도를 나타낼 때 주로 사용 , 100Mbps(=100 Mega bit per second)
  • Byte : 데이터 사이즈를 나타낼 때 주로 사용, HDD 100GB (100 Giga Byte)
    • 8Bit = 1Byte
  • Kilo , Mege , Giga , Tera .... 등의 순서로 커짐 (단위가 넘어갈 수록 2의 10승인 1024배 만큼 커짐)
    • 1024KB = 1M , 1024MB = 1GB, 1024GB = 1TB

 

4. 성능

  • Bandwidth (대역폭)
    • 주어진 시간대에 네트워크를 통해 이동할 수 있는 정보의 양
  • Throughput (처리량)
    • 단위 시간당 디지털 데이터 전송으로 처리하는 양
  • BackPlane
    • 네트워크 장비가 최대로 처리할 수 있는 데이터 용량
  • CPS (Connection Per Second)
    • 초당 커넥션 연결 수 , L4 스위치
  • CC (Concurrent Connections)
    • 최대 수용 가능한 커넥션
  • TPS (Transactions Per Seconds)
    • 초당 트랜잭션 연결 수 , L7 스위치, 주로 HTTP성능을 나타낼때 사용

 

 

출처 

https://bannavi.tistory.com/143

'CS > Network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OSI 7 Layer - Data Link  (0) 2022.05.29
Protocol이란?  (0) 2022.05.28
Network란?  (0) 2022.05.28
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