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. 데이터 링크 계층이란?
- 인접한 네트워크 노드끼리 데이터를 송수신 담당
- 물리계층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류를 감지하고 수정
2. 대표적인 프로토콜
- 이더넷 (Ethernet)
MAC Address란?
- 컴퓨터의 고유한 물리적 주소(= 하드웨어 주소, 랜카드의 주소)
- 12자리 문자열로서 48비트로 표현되고, 16진수로 표현한다.
- 처음 6자리는 랜카드 제조업체를 뜻하고 마지막 6자리는 해당 특정 랜카드(=어댑터)의 고유 식별 번호를 의미
3. 대표적인 장비
- 스위치 (Switch)
4. 주요 기능
- Framing
- Datagram을 캡슐화하여 프레임(Frame) 단위로 만들고 헤더와 트레일러(=FCS,에러감지)를 추가
- 회선 제어
- 신호 간의 충돌이 발생하지 않도록 제어
- 흐름 제어
- 송신자와 수신자의 데이터를 처리하는 속도 차이를 해결하기 위한 제어
- 예를들어 송신측에서 1Gbps로 데이터를 보냈을 때 수신측은 10Mbps만큼만 수신가능하다면 처리를 못하게 되는데 이를 흐름제어를 통해 수신측이 받을 수 있는 만큼만 데이터를 보낸다.
- 송신자와 수신자의 데이터를 처리하는 속도 차이를 해결하기 위한 제어
- 오류 제어
- 전송 중에 오류나 손실 발생 시 수신측은 에러를 탐지 및 재전송
출처
'CS > Network' 카테고리의 다른 글
OSI 7 Layer - Physical Layer (0) | 2022.05.28 |
---|---|
Protocol이란? (0) | 2022.05.28 |
Network란? (0) | 2022.05.28 |
댓글